W3D1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 배웠고 비스니스 모델 캔버스에 대해서 배웠다.
BM에 대해서 배웠을 때 인상 깊었던 부분은 선순환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해야 된다는 점이 있다.
비즈니스 모델은 지속 가능해야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설계를 잘해야 된다.
아마존 제프 베조스의 냅킨이 훌륭한 예일 것이다.
W3D2
Pricing과 PMF에 대해서 배웠다.
Pricing에서 인상 깊었던 부분은 가격을 결정하기 전 먼저 회사의 제품 목표에 대해서 설정해야 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가격 결정법이 달라질 수도 있다.
ex) 시장 점유율 확대 = 저가 전략
ex) 매출 확대 = 고가 전략
이번 주차는 유독 PMF에 대해 배운 점이 인상 깊다.
PMF는 제품 시장 적합성이다. 시장에 수요에 제품이 충족할 때 PMF를 찾았다고 볼 수 있다.
PMF를 찾았다는 것은 시장의 문제를 해결했다는 것이다.
PMF를 찾았을 때 흔히 J커브를 그린다.
PMF를 찾았는지 알 수 있는 지표들이 있다.
Key Metrics(핵심 지표)
- CTR(클릭률) : 홈페이지의 버튼, 메뉴, 테스트하는 것들을 얼마나 많이 클릭하는가.
- CVR(전환율) : 구매 전환율, 다음 페이지로의 전환율, 게시글 전환율 등
- ENGAGEMENT(참여율) : 좋댓공 (좋아요, 댓글, 공유)
- RETENTION(유지율) : 얼마나 자주 방문하는가
- CHURN RATE(이탈률) : 주로 어디에서 이탈을 하는가, 각 단계별 이탈률은 어떻게 되는가
- 몇 퍼센트의 고객들이 특정 기간 동안 (KEY METRICS) 했는가?
NPS (Net Promoter Score)
: '자사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9~10점을 주는 비율(프로모터)에서 0-6점을 준 비율(디트 렉터)을 빼서 지수
- 고객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 ‘그들이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는가를 보면 된다'라는 개념에서 나온 데이터 수집 방법
- 7-8점의 경우 어느 누구에게도 영향을 주지 않는 점수지만 이 7-8점을 9-10점으로 올리는 것이 중요함
- NPS 계산기 (https://ko.surveymonkey.com/mp/nps-calculator/)
40% Rule
: '사용하는 제품이 갑자기 사라지면 어떤 기분이 들겠는가' 물었을 때 '매우 실망'이 40% 이상이면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 Sean Ellis (Growth team leader at Dropbox)*
- 션 엘리스라는 Growth의 글로벌 넘버 원이 창시한 개념
- 0-25% : 우리가 들이는 비용을 낮추고, 더 많이 관여해서, 더 많이 개선해야 하는 상황.
- 26-39% : 포지셔닝과 리타게팅을 다시 해봐야 하는 것.
- 40-100% : 스케일업(매출 확대)을 할 수 있는 단계
Retention Curve
: 시간에 따른 활성자 수가 어느 시점부터 계속 유지가 된다면 PMF를 달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Alex Shultz (VP of Growth at Facebook)
- 당근 마켓이 대표적인 사례
- 마케팅으로 데려온 신규 고객이 어떤 시점부터, 활성자 수가 X%로 리텐션을 유지하는 형태를 보여주면 PMF를 달성했을 가능성이 높음 ex) 고객 유입 1일 차 100%, 2일 차 70%, 3일 차 50%, 1주일 50%, 1달 50% = PMF 달성했을 가능성 높음
- 리텐션 커브를 유지하기 전까지는 제품 개선에 집중
- 리텐션 커브를 유지한 시점부터는 고객 확보에 이전보다 더 집중함
W3D3
KPI에 대해서 배웠다.
KPI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요소들의 대한 성과지표를 말한다.
Beusiness Model 이 '성장하려면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가'를 알기 위한 것이라면, 핵심 지표 설정은 '우리는 지금 잘 가고 있는 것일까'를 알기 위한 것이다.
아래는 실제로 배운 내용 중 KPI에 대해 만들어 보는 내용이다
실제 KPI 만들어보기 - 고객이 우리의 제품을 얼마나 좋아하는가?
넷플릭스의 KPI 만들어보기 (예시)
1. 가장 먼저 '고객이 우리의 제품을 얼마나 좋아하는가'를 알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
- 고객 정의
- 넷플릭스의 대표 고객(추정) : 일 끝나고 자기 전에 여가를 즐기고 싶어 하는 20~30대 직장인 남녀
2. 그들이 우리의 제품을 얼마나 좋아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대표 지표로는 무엇이 있을까?
- DAU, MAU, 구독자 수, 구독 기간 등
3. DAU, MAU를 본다고 했을 때, 매일 방문만 한다고 해서 그들이 우리 서비스를 좋아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좀 더 구체적으로 봐야 하는 지표는 없을까?
- 넷플릭스의 핵심 BM(Business Model)을 통한 지표 발견
- '구독', '구독 기간'
4. 여기서 Key, 핵심은 뭘까?
- 평균 구독 기간의 연장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결국 1인당 매출 확대
위 내용을 토대로 설정한 넷플릭스의 가상의 KPI는 아래와 같을 수 있습니다.
Key = 구독 기간 증가로 인한 1인당 매출 확대
Performance = 구독 기간 증가
Indicator = 평균 구독 기간, 첫 가입 후 구독 기간, 재가입자 구독 기간 등의 구체적인 지표값
W3D4
OKR에 대해서 배웠다
OKR조직적 차원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그 결과를 추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목표 설정 프레임 워크이다.
아래는 실제로 배운 내용 중 OKR을 만드는 예시이다
OKR은 불가능할 것 같은 목표를 정하고, 추적 가능한 지표를 통해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
예시) '피아노를 잘 치고 싶다'라는 생각에서 비롯된 OKR의 예시
Objective
- 준 프로급의 아마추어 피아니스트 되기
Key Results
- 10곡 이상 악보 없이 완곡
- 10곡 모두 일반, 전자, 그랜드 피아노 종류 상관없이 가능
- 50명 이상 있는 곳에서도 실수 없이 완곡
현실적으로 직장인이 준 프로급의 아마추어 피아니스트가 되기란 정말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되지 못하는 것은 아니죠. 즉, 달성을 위한 목표가 아닌 잠재력을 위한 목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추적 가능한 지표를 넣어서 수시로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Initiative
- 본인 수준에 맞는 곡 선정 및 0개월 이상 연습
- 일반, 전자, 그랜드 피아노가 있는 연습실 0개 이상 비교 후 등록
- 아마추어 피아노 경진대회 0곳 이상 서칭 및 신청
일반적으로 OKR에서는 아래 이니셔티브(계획)는 없지만, 세부 계획도 명시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세부적인 계획이 없다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방향을 팀원이 헷갈려 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명심할 부분은 Key Results는 업무 활동이 아닌 성과 결과여야 한다.
이번 주도 빠르게 지나갔다.
점점 익숙해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잔꾀도 생기는 거 같다.
정신무장을 다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 주에 회고할 때는 이번 주보다 더욱 발전한 모습일 것이다.
Week4 에서는 루틴을 만들고 루틴을 철저히 지키며 생활할 것이다.
규칙적인 생활을 하며 오로지 부트캠프에 집중해야겠다. 다음 주는 더욱 발전된 나를 기대하며 회고를 마치겠다.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PMB 9기] UX심리학으로 분석해보는 다짐 UX (0) | 2021.12.14 |
---|---|
[코드스테이츠 PMB 9기] 타투쉐어 UX 분석 (0) | 2021.12.13 |
핵심 지표 설정 KPI, OKRs (0) | 2021.12.10 |
[코드스테이츠 PMB 9기] KPI Dictionary(사전) 세탁특공대의 OKRs (0) | 2021.12.08 |
[코드스테이츠 PMB 9기] W3D2 캐시워크는 PMF를 찾았는가? (0) | 2021.12.07 |